BULZ 구성, 주가 및 FNGU와 비교

  • https://mdou-life.com/wp-content/uploads/2023/07/nblog.png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저번 시간에 분석했던 FNGU에 이어, 오늘은 BULZ라는 레버리지 상품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BULZ를 구성하는 종목과 차트 분석을 통한 주가 전망에 대해 진행하려고 합니다. 천천히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ULZ ETN

BULZ 운용사 및 수수료 등 정보

[BULZ : Bank of Montreal MicroSectors Solactive FANG Innovation 3X Leveraged ETN]

  • 운용사 : BOM(Bank of Montreal)
  • Net Assets : $531.55M
  • PE Ratio (TTM) : 48.74
  • 운용 수수료 : 0.95%
  • 52 Week Range : $19.07~86.40
  • Avg. Volume : 189,487

BULZ의 기본 정보는 위와 같습니다. FNGU와는 같은 운용 수수료를 갖고 있습니다. 다만, 순 자산 규모와 평균 거래량을 본다면 FNGU보다 규모가 작은 상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죠. FNGU와 마찬가지로 빅테크 종목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52주(1년)동안 주가 범위를 고려했을 때 상당히 많이 올랐다고 봐도 되겠죠.

그렇다면, BULZ의 구성 종목과 더불어 FNGU와 차이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같은 증권사에서 출시된 상품이라, 유사한 점이 많아요. 다른 말로 얘기하면, 둘 중 하나의 상품에만 투자를 해도 충분하다는 뜻입니다. 본격적으로 차이점을 알아볼게요! 그 전에 FNGU 분석글을 먼저 읽고 오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BULZ 구성

BULZ 구성 종목 비율

BULZ와 FNGU 차이점
BULZ 구성 종목

BULZ의 구성 종목은 총 15개입니다. 애플, 어도비, AMD, 아마존, 브로드컴, 세일즈포스, 알파벳(구글), 인텔,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론, 넷플릭스, 엔비디아, 퀄컴, 테슬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 BULZ를 구성하는 종목들의 비율이 같다는 것이 큰 특징이죠.

BULZ와 FNGU의 차이점

FNGU와 BULZ 종목 비교
FNGU와 BULZ 종목 비교

FNGU와 BULZ는 구성종목의 차이가 있습니다. FNGU와 BULZ의 공통 종목은 메타, 테슬라, 엔비디아, AMD, 넷플릭스, 애플, 아마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입니다. FNGU에만 있는 종목은 스노우 플레이크이며, BULZ에만 있는 종목은 어도비, 세일즈포스, 브로드컴, 인텔, 마이크론, 퀄컴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투자자의 입장으로서, 어떤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지 한번 볼까요?

FNGU와 BULZ 수익률 비교

상승장에서의 비교


FNGU와 BULZ 수익률 비교(상승장)
FNGU와 BULZ 수익률 비교(상승장)

올해 1월 1일부터 현재까지라고 기간을 정하고, FNGU와 BULZ의 수익률을 비교해보겠습니다. BULZ는 +231.06%이며, FNGU는 +310.24%로 FNGU의 수익률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죠. 또한 2022년 10월 14일부터, 2023년 10월 11일까지 1년간 수익률을 비교하더라도, 182.21% 상승한 BULZ보다 FNGU가 더 높은 상승(+210.17%)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하락장에서의 비교

FNGU와 BULZ 수익률 비교(하락장)
FNGU와 BULZ 수익률 비교(하락장)

하락장에서 비교를 해보면, FNGU의 수익률은 -90.33%이며, BULZ는 -91.61%를 기록했습니다. 그렇게 큰 차이는 아니지만, 그래도 하락장에서 FNGU의 손실이 더 적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빅테크와 기술주 종목 중심이라 하락장에서 취약한데, 3배 레버리지이니 더욱 크겠죠. 제가 누차 말씀드리지만, 3배 레버리지 장투는 정말 위험하니 조심하세요!

BULZ 주가 전망

BULZ 지지 라인

BULZ 일봉
BULZ 일봉

BULZ의 지지 라인은 58~60달러와 52달러로 확인됩니다. 60달러는 8월과 10월 저점을 다진 구간입니다. 물론 65달러 부근에 120일 이동 평균선이 형성되어, 기술적 반등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다만 저는 지금 이동 평균선의 간격에 주목하고 싶어요. 현재 120일 이동 평균선과 200일 이동 평균선의 갭이 상당합니다. 즉, 주가의 수렴이 나올 확률이 많다는 것이죠.

일봉 추세선
일봉 추세선

하늘색 지지 라인과 빨간색 저항선을 한번 보시면, 하락 삼각 수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점을 내리며, 지지 라인은 일정한 형태로 수렴하고 있는 상황이죠. 이런 경우에선 사실 무조건 하방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보통 하방의 가능성을 좀 더 열어두고 분석하는 경우가 많죠. 다만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파란색 지지 라인입니다.

좀 더 중기적인 관점에서 계속 저점을 높이며 상승하는 패턴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들어 보이는 패턴이, 하락 삼각 수렴이지 중기적인 관점을 보면, 오히려 대칭 삼각수렴이라고 볼 수 있겠죠. 또한 주봉 차트를 한 번 같이 볼게요.

주봉 차트를 본다면, 볼린저 밴드의 하단선이 60달러에 위치해있습니다. 중기적인 관점에서 60달러는 강력한 지지를 의미하는 것이죠. 다만, 빅테크 기업들이 5% 정도 조정만 있더라도 60달러가 되는 점과 120일 이동 평균선과 200일 이동 평균선이 많이 이격되어 있는 것을 본다면, 분할 매수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봅니다.

60달러는 충분히 매수를 하면서 가져가야 할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지지는 없습니다. 따라서 52달러라는 2차 지지 라인이 필요한 것이죠. 2차 지지 라인은 200일 이동 평균선 5월에 형성된 갭 구간입니다. 이 역시 강력한 지지 라인이죠. 따라서 60달러에서 1차 매수, 52달러에서 2차 매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BULZ ETF 소개와 차트 분석에 대해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지속적으로 FNGU, SOXL, TSLL, AAPU, BULZ 등 레버리지 상품에 대해 추적 분석을 할까 생각하고 있어요. 지속적으로 응원해주시는 팬분이 있다면 좋겠어요..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

Leave a Comment

/* This script enhances the image viewing experience within WordPress posts by enabling a modal popup functionality. When a user clicks on an image that isn't contained within a hyperlink, the image is displayed in a full-screen overlay, or 'modal', thus focusing the user's attention solely on the image. The modal can be closed either by clicking on the 'X' button positioned in the top right corner, or by clicking outside the image. This provides an engaging and user-friendly way to view images in WordPress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