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세미컨덕터의 실적 발표 이후, 정말 엄청난 결과가 이루어졌습니다. 주가는 종가 기준으로 20%가 넘는 급락이 나왔죠. 3분기 실적 자체는 만족스럽지만 역시나 부정적인 4분기 가이던스가 발목을 잡았죠. 본격적으로 살펴볼게요.
온세미컨덕터 주가 상황

위의 차트를 한번 보시면, 10월 30일 실적 발표 이후, 종가는 65.34달러로 -21.77%라는 엄청난 주가 급락이 발생하였습니다. 위의 Finviz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전반적으로 나스닥, S&P 500, 다우존스 모두 1% 이상 상승하는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즉 온세미컨덕터의 이러한 주가 하락은 개별적인 실적 문제라는 것이죠.
23년 3분기 온세미컨덕터 실적 결과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3분기 실적은 혼합이라고 생각합니다. 매출은 작년 동일 분기 대비 감소한 것은 맞지만, 영업 지출을 46% 가까이 줄이면서 영업 이익과 순이익은 향상된 결과를 보고 했죠. 요약하자면, 작년 동일 분기 대비 매출은 감소했지만, 영업 이익과 순이익은 증가했다는 것입니다.
Income Statements(손익 계산서)

위의 사진을 보시면 1년 전인 22년 3분기 실적과 비교할 수 있는데요. YoY 기준으로 매출, 매출 총이익은 감소했지만, 영업이익, 순이익, 주당 순이익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특히, 영업 이익과 순이익의 증가 폭은 작년 동일 분기와 비교해보면, 62%와 87%에 가까운 증가를 보여줬죠.
- Revenue : $2,180.8 ( Vs YoY : -0.5% / Vs QoQ : +4.1%)
- Gross Profit : $1,030.7 (Vs YoY : -2.6% / Vs QoQ : +3.8%)
- Operating Income : $687.0 (Vs YoY : +62.0% / Vs QoQ : +1.4%)
- Net Income : $582.9 (Vs YoY : +87.0% / Vs QoQ : +1.1%)
- Diluted EPS : $1.29 (Vs YoY : +84.3% / Vs QoQ : Same)
- $ in millions
매출은 전년 동일 분기 대비 -0.5% 감소하였지만, 직전 분기 대비 4% 향상되며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영업 이익과 순이익 역시 각각 62%, 87%라는 큰 개선된 결과를 보고했죠.
마진율 측면에서 본다면, Gross Margin은 47.3%를 기록했으며, Operating Margin은 32%, Net Income Margin은 27%를 기록했습니다. Gross Margin은 Y/Y, Q/Q 대비 모두 감소하였습니다. Operating Margin과 Net Income Margin은 Q/Q 대비 감소했지만, Y/Y 대비 증가한 모습을 보여줬죠.
Segments Revenue

[End-Markets]
End-Markets 기준으로 온세미컨덕터의 매출은 자동차, 산업용, 기타(컴퓨팅, 네트워킹 등)으로 구분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차지하는 것은 자동차 매출이죠. 온세미컨덕터는 선택과 집중을 하여,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 주목을 하기 시작했죠.

위의 사진을 보시면, End Market 기준 매출 비중을 나타내고 있는 사진이죠. 점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비중이 상승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3년 3분기 기준 차량용 반도체 매출은 $1,157.8M로 Y/Y 대비 32.5% 상승하였으며, 산업용 반도체는 $615.8M로 0.4% 상승하였습니다. 즉 온세미컨덕터의 성장 동력은 차량용 반도체라는 뜻입니다.
[Product Technologies]

온세미컨덕터는 전력 반도체 시장 점유율 2위 기업이자, 이미지 센서 1위 기업입니다. 전력 반도체 매출은 $1,154.8M로 Y/Y 대비 +8.2% 상승했으며, 이미지 센서 매출은 -2% 하락했죠.
Balance Sheet

총 자산은 $13,281.3M, 총 부채는 $5,777.3M, 총 자기자본은 $7,504.0M을 기록하였으며, 현금 및 현금 등가물 자산은 $2,679.2M을 보고하였습니다. 총 자산, 총 부채, 총 자기자본 모두 Y/Y 대비 증가했지만, 부채의 증가 폭은 상당히 작죠.

부채 비율을 보면, 이번 분기 77%를 기록했죠. 부채 비율을 본다면, 13분기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이 보이죠? 20년 4분기에 144%였던 부채 비율은 23년 3분기 77%까지 감소했습니다. 이는 엄청난 것이죠. 지속적으로 재무 건전성이 좋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Cash Flow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은 이번 분기 $566.6M을 기록했으며, CapEX는 $(433.0)M을 보고했습니다. 이로 인하여 잉여 현금 흐름은 $133.6M으로 마감하였죠. 매출의 6.8% 수준의 잉여 현금 흐름이 형성되었으며, 이 값은 사실 아쉽죠. 직전 분기는 14%이며 1분기에는 16.9% 비율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3분기 6.8%는 아쉽습니다.
4분기 가이던스

4분기 가이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4분기 매출은 19억 5000만 달러~20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Gross Margin은 45.5%~47.5% 예상하고 있죠. 이 수치들은 상당히 부정적입니다. 4분기 주가 전망에 대해 보수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함으로서, 이 점이 주가 급락의 주된 원인입니다.
영업 지출은 3분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CapEX는 $425M~465M으로 이번 분기보다 소폭 상승하거나 비슷할 전망이죠. 그리고 주당 순이익은 $1.13~$1.27로 최대로 좋게 전망해도 이번 분기보다 안 좋을 것이라는 것이죠.
요약
온세미컨덕터의 이번 분기 실적은 엄청나게 좋다까지는 아니지만, 21%라는 주가 급락을 맞을 정도는 절대 아니라는 것입니다. 매출과 매출 총이익이 Y/Y 대비 다소 하락한 것은 맞지만, 영업 지출을 줄임으로서 영업 이익과 손이익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부채 비율이 지속적으로 좋아지면서, 재무 건전성이 더욱 확보되고 있는 상황 속 잉여 현금 흐름이 이번 분기 다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매출 대비 잉여 현금 흐름이 6.8%로 직전 분기와 1분기에 비해 다소 아쉽죠. 2027년 목표치인 25~30%에 비한다면 한참 부족합니다.
또한 4분기 매출 및 EPS 가이던스가 3분기보다 못할 것이라는 전망과 시장의 기대치를 하회하면서 주가는 급락하였습니다. 다만 완벽하지 않고, 부정적인 면이 몇 개가 있는 실적 결과였지만 이렇게까지 급락하는 것은 정말 과하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온세미컨덕터 주가 전망

지지라인이 붕괴된 과매도
이건 도를 넘는 과매도라고 말씀드리는 이유는 주봉 차트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온세미컨덕터는 우상향을 하면서, 적절하게 조정이 나왔습니다. 이 때 지지 작용으로 작용하는 것이 50주 이동 평균선이며, 과하게 조정되었을 때는 Envelope 1차 지지선이죠.
하지만 지금의 모습은 어떤가요? 실적 발표로 인한 급락만 아니었으면 이런 정상적인 주가 상승 및 조정의 과정이 나왔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하지만 엄청난 갭하락으로 Envelope 2차 지지라인까지 주가를 조정시켰습니다.
그렇기에 지금의 흐름은 엄청난 과매도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빠르게 반등이 나오며 정상 주가로 다시 올라갈 확률도 있죠. 하지만 요즘 실적 발표 이후, 주가를 핸들링하는 기관들의 모습들이 참 이상합니다.
만약 예상대로 4분기 실적이 안좋게 나온다면, 선반영되었을 것이라는 우리의 예상과 다르게 추가적으로 더욱 하락시킬 수도 있죠. 인페이즈 에너지와 솔라엣지를 보면 알 수 있으실 겁니다. 따라서 지금 1차 분할 매수 정도로만 진입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마지막 분할 매수는 50달러
현재 65달러 부근도 주봉 차트 기준으로 Envelope 2차 지지 라인이 있기에, 강력한 기술적 반등자리인 것은 맞습니다. 그리고 지금 모든 지표가 과매도 상황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으며, 매수 적기라고 알려주고 있죠.
하지만 요즘 기관들의 주가 핸들링을 보면 호재에 주가를 상승시키지 않고, 악재에 엄청나게 하락시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예측된 실망스러운 전망에도 실제로 실망스러운 결과가 나오면, 추가적으로 하락시키죠. 그렇기에 50달러라는 마지막 분할 매수 포인트를 정해드리고 싶습니다.
50달러는 21년 형성된 갭 상승 구간으로, 여러 차례 지지의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1차 분할 매수를 진행하시고, 50달러 부근에서 2차 분할 매수를 진행하신다면 평균 단가가 57달러 부근에서 형성되겠죠? 2~3년 묻어두시면, 분명 엄청난 저가라고 뒤돌아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상으로 온세미컨덕터 실적 결과에 대해 분석해봤습니다. 다소 아쉬운 가이던스를 이유로 21%까지 급락한 온세미컨덕터는 다소 억지스러운 주가 조정이라고 봅니다. 오히려 좋은 매수 찬스로 이어질 수 있지만, 1차 분할 매수까지만 하셨으면 합니다.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