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의 실적 결과는 어닝 서프라이즈입니다. 주당 순이익, 매출은 시장의 예측치를 뛰어넘는 우수한 결과를 보고했죠. 실적은 예상을 상회했지만, 보수적인 가이던스로 인해 메타는 급락하였습니다. 같이 알아볼게요.
메타 주가 상황

위의 차트를 한번 보시면, 10월 26일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279달러까지 하락했으며 종가는 288달러로 낙폭을 만회하며 마감하였습니다. 10월 27일에는 하락을 다소 만회하는 양봉이 나와 현재 296달러에 형성되어있죠.
2일이 지난 시점, 메타 실적에 대해 분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시장에선 벌써 실적에 대해 풀이를 했고, 반영이 된 상황에서 무엇이 의미가 있을까요?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에게 저는 두 가지를 제시합니다. 첫 번째는 매수의 기회이며, 두 번째는 매수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 해소이죠.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리뷰를 진행해보겠습니다.
23년 3분기 메타 실적 결과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엄청나다는 말부터 드리고 싶습니다. 인력을 감축하는 등의 비용 절감 효과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작년과 비교한다면, 엄청난 매출 증가와 운영 마진을 기록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한번 살펴볼게요!
Income Statements(손익 계산서)

위의 사진을 보시면 1년 전인 22년 3분기 실적과 비교할 수 있는데요. YoY 기준으로 매출, 매출 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 주당 순이익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특히, 영업 이익과 순이익의 증가 폭은 작년 동일 분기와 비교해보면, 2배 이상 상승하는 엄청난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 Revenue : $34,146 ( Vs YoY : +23.2% / Vs QoQ : +6.7%)
- Gross Profit : $27,979 (Vs YoY : +27.0% / Vs QoQ : +7.6%)
- Operating Income : $14,128 (Vs YoY : +232.5% / Vs QoQ : +38.9%)
- Net Income : $11,583 (Vs YoY : +264.0% / Vs QoQ : +49.0%)
- Diluted EPS : $4.39 (Vs YoY : +268% / Vs QoQ : +47.3%)
- $ in millions
위의 결과를 보신다면, 직전 분기 및 작년 동일 분기 대비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특히 영업 이익과 순이익은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증가폭이 상당하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업 이익은 직전 분기 대비, 39% 상승했으며, 작년 동일 분기 대비는 232% 상승했죠. 순이익은 직전 분기 대비 49% 상승했으며, 작년 동일 분기 대비 264% 상승한 엄청난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마진율 측면에서 본다면, Gross Margin은 81.9%를 기록했으며, Operating Margin은 41%, Net Income Margin은 34%를 기록했습니다. Gross Margin, Operating Margin과 Net Income Margin은 직전 분기 및 작년 동일 분기 대비 크게 향상되었죠. 감가 상각과 마켓팅 및 판매 관련 영업 지출이 확연히 줄었기에 마진율이 크게 향상된 것이죠.
Segments Revenue

메타의 매출은 Family of Apps와 Reality Labs로 구성됩니다. Family of Apps는 우리가 알고 있는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의 어플을 의미하며, Reality Labs는 메타 버스와 가상 현실에 관련된 사업을 의미하죠. 메타 플랫폼즈가 어떤 회사인지 모르시는 분이라면, 아래의 글을 먼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amily of Apps
Family of Apps의 매출은 이번 분기 $33,936M를 보고했습니다. 이는 Q/Q 대비 +7%, Y/Y 대비+24% 향상된 결과이죠. 영업 이익은 $17,490M를 보고했으며, Q/Q 대비 +33%, Y/Y 대비 +87% 향상된 결과이죠. 그리고 영업 마진은 40%를 기록했습니다.

DAP는 일간 활성 사용자를 의미하는데, 저번 분석글에서 한번 말씀드렸죠? DAP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왓츠앱 등 어플을 사용하는 일일 사용자 수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는 평균 수익이 증가할 확률이 높다는 뜻이죠.

MAP는 월간 활성 사용자를 의미하며, 서비스가 확보하고 있는 사용자의 총 수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우린 DAP/MAP 비율을 한번 봐야 합니다. 이를 풀어 말한다면, 서비스가 확보한 사용자 중에 일일 사용자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죠. 이 비율은 79%로, 100명의 사용자 중 79명은 하루에 한번은 접속한다는 의미죠.
이 비율이 지금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소셜 네트워크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DAP/MAP 비율이 유지된다는 것은 다른 어플로 이탈이 없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이죠.

DAP/MAP 비율도 항상 유지되고 있고, MAP와 DAP 모두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죠. 그렇다면 우리는 사람당 평균 매출 역시 유지되거나,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고, 위의 자료를 통해 확신할 수 있죠. 이번 분기 사람당 평균 매출은 $8.71B로 Q/Q 대비 +4.7% 향상되었으며, Y/Y 대비 +15.7% 향상된 결과를 보였죠.
Reality Labs
Reality Labs의 매출은 $210M를 기록했는데, Q/Q 대비 -24% 감소, Y/Y 대비 -26% 감소한 결과입니다. 또한 영업 손실은 $(3,742)M를 기록했고, 직전 분기와 작년 동일 분기 대비 손실 폭이 더 커진 결과이죠. 이는 Quest 2 매출 감소로 인한 결과이죠.
어닝콜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얘기가 나왔는데요. 2023년 Reality Labs 전체 영업 손실이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AR/VR에 대한 지속적인 제품 개발 비용과 생태계 확장을 위한 투자로 유의미한 영업 손실의 증가라고 했죠.
Balance Sheet

총 자산은 $216,274M, 총 부채는 $73,401M, 총 자기자본은 $142,873M을 기록하였으며, 현금성 자산은 $61,123M을 보고하였습니다. 현금성 자산은 작년 동일 분기 대비 $20,385M 증가하였으며, 부채 비율은 저번 분기 대비 3%p 감소한 51%를 기록했습니다.

부채 비율을 보면, 이번 분기 51%를 기록했죠. 이 값은 작년 동일 분기인 54%보다 낮아졌지만, 작년 동일 분기(44%)보다는 증가하였습니다. 이 정도의 부채 비율은 정말 엄청난 재무 안정성을 보여주는 수치이죠. 유동 비율은 258%로 단기 현금 안정성 역시 훌륭합니다.
Cash Flow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은 이번 분기 $20,402M, CapEX는 $ (6,763)M을 보고하면서, 잉여 현금 흐름은 $13,639M을 보고하였습니다. 잉여 현금 흐름은 Q/Q 대비 +24.5% 향상된 결과를 보고 했으며, 작년 동일 분기 대비는 78배 향상되었습니다.
요약
지금까지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Reality Labs가 다소 아쉽긴 하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엄청난 결과를 보고했죠? 영업 지출을 잘 통제하여, 영업 이익과 순이익이 매우 향상되었으며, 마진율 또한 엄청 상승하였죠. 잉여 현금 흐름 매우 증가했죠.
4분기 가이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4분기 매출은 365~4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메타의 경우 일반적으로 매출액 범위를 25억 달러로 제시합니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35억 달러 차이를 전망했죠. 즉 앞으로의 불확실성을 간접적으로 얘기한 셈이죠.
실제로 어닝콜에서 4분기 초에 광고 지출이 소폭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고 얘기했습니다. 이는 중동 전쟁에 관련된 변동성이라고 언급했죠. 따라서 중동 전쟁으로 인해 가이던스의 범위가 늘어났다는 것이 이번 메타 실적의 가장 큰 오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 주가는 하락한 것이구요.
메타 주가 전망

325달러, Double Top이 형성된 고점
325달러는 쌍봉을 만든 저항 라인입니다. 위의 차트는 주봉 차트에요. 전 다른 빅테크보다 메타가 가장 걱정됩니다. 이건 제 주관적인 의견이지만, 메타는 저점에서 전고점까지 278% 상승하였습니다. 그런데 조정은 15%밖에 되지 않았죠. 엄청난 상승 대비 주가의 조정이 너무 소폭이에요. 거의 V자 반등에 가까운 수준이죠.
위의 이동 평균선을 보시면, 이동 평균선의 갭도 상당합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른 빅테크와 비교해봐도 주가의 조정이 거의 없는 수준이죠. 따라서 충분한 조정이 없는 메타에 투자를 하는 것은 오히려 더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지지 라인 : 278달러 / 235~250달러
현재 275~278달러 부근에서 저점을 다지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325달러에서 쌍봉을 보여줬다면, 278달러에서 쌍바닥을 형성한 것이죠. 278달러가 붕괴된다면, 본격적인 조정이 발생한다고 봐야 합니다. 그 때 1차 매수로 전 235~250달러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 가격까지 주가가 안올 가능성도 높아요. 그러면 메타는 제 종목이 아닌 것이죠.
이상으로 메타 실적 결과에 대해 분석해봤습니다.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4분기 가이던스에 대한 실망으로 주가는 다소 조정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엄청난 결과를 보여줬죠. 이상으로 메타에 대한 실적 리뷰를 끝마칠게요!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