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비 : 유일무이한 독점기업, 지지 라인 분석을 통한 어도비 투자하기

  • https://mdou-life.com/wp-content/uploads/2023/07/nblog.png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오늘 제가 분석할 종목은 PDF와 포토샵으로 유명한 어도비입니다! 어도비는 어떤 회사이며, 최근 어떠한 이슈가 있는지, 주가는 어떤지 분석해보겠습니다.

어도비 : 어떤 회사일까?

어도비 :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 + PDF + Creative Cloud

어도비는 컴퓨터를 만져보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알만한 회사입니다.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인 Adobe Photoshop, 문서 포맷인 PDF, Adobe Creative Cloud Service까지 제공하는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입니다.

어도비에선 어떠한 사업으로 매출을 만들고 있을까요? 어도비는 크게 세 종류의 사업을 통해 매출을 만들고 있습니다. Digital Media, Digital Experience, Publishing and Advertising에는 어떤 제품들이 있는지 한번 상세히 분류해볼게요!

  • Digital Media
    • Creative Cloud : Photoshop, Illustrator, Premiere Pro, InDesign
    • Document Cloud : Adobe Acrobat
  • Digital Experience
    • Data Insight / Client : Analytics, Customer Journey Analytics, Real-Time CDP,
      Audience Manager
    • Contents / Commerce : Experience Manager Sites, Experience Manager Assets
      Commerce
    • Customer Journey : Target, Campaign, Journey Optimizer, Marketo Engage,
      Advertising
    • Marketing Workflow : Workfront
    • Digital Sigh : Experience Manager Forms, Sign
  • Publishing and Advertising

어도비 : 전 세계 시가 총액 39위, 소프트웨어 섹터 시가 총액 5위

어도비의 시가 총액은 Companies Marketcap에서 확인한 결과 $238.62B로 이천억 달러가 넘는 우량주입니다. 전 세계 시가 총액 순위로는 39위이자, 소프트웨어 섹터 시가 총액 5위에 해당합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오라클에 이어 5번째 규모의 소프트웨어 회사이죠.

전 세계 시가총액 순위
전 세계 시가 총액 순위
소프트웨어 섹터 시가 총액 순위
소프트웨어 섹터 시가 총액 순위

회사 사업 부문별 매출 현황

어도비 사업 부문별 매출
어도비 사업 부문별 매출

위의 사진은 어도비 사업 부문별 매출을 비율로 나타낸 사진입니다! 기준은 23년도 2분기 매출 기준이에요! 어도비에서 제일 큰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Digital Media입니다! Digital Media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Creative Cloud와 Document Cloud로 나뉩니다. Digital Media의 매출 중 81%는 Creative Cloud 매출이죠.

그 다음 Digital Experience 매출은 25.4%이며, Publishing & Advertising 매출은 1.6%입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어도비에 있어서, Digital Media 사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겠죠? 그렇다면 각 사업 부문별로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Digital Media

Digital Media 분기별 매출
Digital Media 분기별 매출

Digital Media 사업 부문의 분기별 매출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14분기에 걸쳐 Digital Media 매출은 꾸준히 우상향했습니다. 단 1번을 제외하고요. 성장률은 22년 3분기를 기점으로 다시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digital Media 연도별 매출
digital Media 연도별 매출

위의 자료는 Statista에서 참고한 자료로, 어도비 Digital Media 섹터의 2016~2025년까지의 연간 매출 예상치입니다. 2024년과 2025년 역시, 꾸준하게 우상향할 것이라는 예상치입니다. 어도비의 생성 AI 기술은 4Q23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확히 Creative Cloud 분야에 성장률을 재점화시켜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죠.

Cloud 구분

IaaS, PaaS, SaaS

어도비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Market Share 관련 설명에 앞서, IaaS / PaaS / SaaS를 설명 먼저 하겠습니다. 저도 사실 글 쓰면서 엄청 많이 공부하게 되네요. 거두절미 하고, 어도비는 SaaS 방식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위에 언급한 세 가지 서비스의 구분부터 하고 갈게요!

클라우드 서비스 차이
클라우드 서비스 차이

위의 사진에서 화살표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화살표는 서비스로 제공된다는 의미에요. 즉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업들은 진한 회색의 영역에 있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죠. SaaS는 그럼 저 모든 것을 서비스로 받는 것인가요?

SaaS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고객을 대신하여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공급 업체는 모든 잠재적인 기술적 문제를 관리하기 때문에 고객은 유지 및 보수에 관하여 시간 및 돈을 들이지 않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죠.

  • IaaS : AWS, Azure, GCE
  • PaaS : Heroku
  • SaaS : Dropbox, Salesforce, Adobe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어도비는 SaaS 방식을 사용합니다. SaaS의 특징은 소프트웨어를 기기에 설치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특징이 있죠. 혹시 캐드나 카티아를 써보신 분이 있을까요? 파일을 받아 수정하려면 해당 프로그램을 깔아서 파일을 열고, 파일에서 수정을 해야 했죠. 하지만 SaaS는 그런 번거로움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서 SaaS 기업인 피그마를 어도비가 인수한 것이죠. 어도비의 툴들은 무거우며, 고사양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동의 어려움도 있었으며, 파일 전송의 어려움도 많았어요. 이러한 점을 SaaS 기업인 피그마를 인수함으로써, 많은 제품의 유기적 호환성을 향상시킨 것입니다.

SaaS Market
상 : SaaS 기업 수 / 하 : SaaS 기업 매출
상 : SaaS 기업 수 / 하 : SaaS 기업 매출

Ascendix의 자료에 따르면, SaaS Market 시장은 점점 확대된다고 예상합니다. 기업들의 수뿐만이 아니라, Market 시장 매출까지도요. 이 자료를 가져온 이유는 어도비의 주력 사업인 Digital Media의 제품군들이 SaaS 구조로 되어있기에, 위축될 걱정은 안 해도 된다는 것이죠.

Creative Cloud 부문의 매출 변화

Crearive Cloud 매출 현황
Creative Cloud 매출 현황

위의 사진은 14분기 동안, Creative Cloud 매출 현황을 그래프로 그려봤습니다. 보고 어떠한 생각이 드시나요? 결과만 본다면 우리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어요!

  • 매출 : 증가
  • Growth(QoQ) : 큰 폭의 감소 후, 3~4% 성장률 유지
  • Growth(YoY) : 하향세

우리는 위의 그래프를 읽으면, 위와 같이 세 줄로 요약할 수 있어요. QoQ로 보면, 성장률을 유지하던 것이 YoY로 본다면 성장률 유지보다는 오히려 성장률 둔화라고 보이는 것이죠. 그렇다면 현시점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생성 AI Firefly

생성 AI 접목으로 성장률 둔화의 반등을 발생시켜야 한다.

이미지 생성 AI Firefly의 역할이 이제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물론 어도비는 포토샵 및 Creative 관련 독점에 가까운 수준이죠. 하지만, 중요한 것은 4Q23이라는 것입니다. 만약 생성 AI 접목에도 불구하고, Creative Cloud Growth(YoY)가 반등하지 못한다면 어떨까요? 주가는 하락할 것입니다. 100% 확실하진 않아요. 하지만, Cloud 부문에서의 성장률 둔화는 주식 시장에서의 큰 악재이기에 걱정되는 부분이긴 합니다.

Document Cloud 매출 변화

Creative Cloud Vs Document Cloud
Creative Cloud vs Document Cloud

위의 사진은 Creative Cloud와 Document Cloud의 매출과 성장률을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우리는 앞선 설명에서, 어도비의 주요 매출은 Digital Media, 그중에서도 Creative Cloud에서 나온다는 것을 확인했어요. 위의 차트도 마찬가지로 Document Cloud 매출은 Creative에 비해 확실히 낮죠.

하지만, 우리가 주요하게 봐야 할 점은 성장률이라는 것입니다. 지난 14분기 동안 Document Cloud의 성장률은 Creative Cloud의 성장률을 대체로 상회하였습니다. Workflow의 Digital화, 법적 기록에 대한 전자 서명 허용, 전자 텍스트나 전자 문서 등은 Document Cloud의 성장동력이죠.

다만 최근 들어, Document Cloud의 성장률이 주춤한 것도 사실입니다. 분기별 비교를 본다면, Creative Cloud와 같은 수준이며, YoY도 거의 비슷해진 상황이죠. Document Cloud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유지할 수 있을지, 아니면 Creative Cloud에 의존적인 상황이 지속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Digital Experience

Digital Experience vs Document Cloud vs Creative Cloud

사업 부문별 매출
사업 부문별 매출

위의 사진을 보면 Digital Experience의 매출 규모와 성장률 추이를 볼 수 있습니다. 매출은 Document Cloud보다 크고, Creative Cloud보다 낮은 정도의 규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확실히 지금까지 가장 높았던 성장률을 보여준 것은 Document Cloud입니다. 가장 큰 연간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만, 이번 분기에 들어 모든 사업의 성장률이 수렴하고 있습니다.

Document Cloud의 성장률이 가장 높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성장률의 추이가 세 사업이 모두 수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향후 어떤 사업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죠.

Digital Experience Platform

DXP
DXP

위의 자료에 따르면 Digital Experience Platform 시장은 연간 11%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위와 유사하게 Bloomberg에서는 DXP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304억 달러에 도달할 것이며, 연평균 11.9%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보도하였습니다.

지금 어도비의 Digital Experience의 성장률은 현재 11%입니다. 언론들이 예측하는 DXP의 향후 연평균 성장률은 11~12%이죠. Sensei AI를 통해 Creative AI와 Experience Cloud의 호환성을 높이는 계획이 얼마나 큰 효과를 거둘진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Digital Experiecne의 YoY 성장률이 시장의 연평균 예측 성장률 이상을 보여줘야,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겠죠?

어도비 : 23년 2분기 실적 분석

손익 계산서 분석 : 강력한 모습

Financial Highlights

어도비-손익계산서
어도비-손익계산서

손익 계산서를 본다면, 정말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 이번 실적 발표였습니다. 작년 동일 분기 대비와 직전 분기 대비 매출, 매출 총이익, 영업 이익, 순이익 모두 증가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그렇다면 자세한 수치를 살펴볼까요?

  • Revenue : $4,386m -> $4,816m (+10% YoY)
  • Gross Profit : $3,847m -> $4,244m (+10.3% YoY)
  • Operating Income : $1,529m -> $1,624m (+6.2% YoY)
  • Net Income : $1,178m -> $1,295m (+10% YoY)
  • Diluted EPS : $2.49 -> $2.83 (+13.3% YoY)

손익 계산서에 명시된 것과 같이 작년 동일 분기 기준으로 모든 값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매우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 것이죠. 직전 분기 대비 비교해보겠습니다!

  • Revenue : $4,655m -> $4,816m (+3.5% QoQ)
  • Gross Profit : $4,087m -> $4,244m (+3.9% QoQ)
  • Operating Income : $1,586m -> $1,624m (+2.4% QoQ)
  • Net Income : $1,247m -> $1,295m (+3.9% QoQ)
  • Diluted EPS : $2.71 -> $2.83 (+4.3% QoQ)

Segment Highlights

사업 부문별 결과를 말씀드리면, 역시나 강력한 모습을 보입니다. Digital Media와 Digital Experience 부문 역시 직전 분기와 작년 동일 분기 대비 증가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 Digital Media : $3,200m -> $3,511m (+10% YoY)
    • Creative Cloud : $2,605m -> $2,852m (+9% YoY)
      • ARR(Annualized Recurring Revenue) : +$11,640m
    • Document Cloud : $595m -> $659m (+11% YoY)
      • ARR(Annualized Recurring Revenue) : +$250m
  • Digital Experience : $1,010m -> $1,222m (+12% YoY)
    • ARR(Annualized Recurring Revenue) : +$1.070m (+12% YoY)

사업 부문별 매출 역시 작년 동일 분기 대비 증가하며, ARR 역시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에, 주가는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겠죠?

대차 대조표 : 안전한 재무 건전성

어도비-대차 대조표
어도비-대차 대조표

큰 변화는 없지만, 긍정적이네요. 부채는 줄고, 자본은 늘었습니다. 유동 비율은 1.15로 단기 부채에 대한 리스크는 적은 편입니다. 또한, 단기 채무 / 총채무 비율 역시 1.8%로 안정된 것을 보았을 때, 단기 채무에 대해선 걱정이 없죠.

부채 비율은 약 88%로 안정적인 비율이며, 현금성 자산은 10억 증가하였죠. 이런 모습을 봤을 때, 어도비의 대차 대조표는 안전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별히 급격한 증감을 보여준 항목도 없고요.

현금흐름표

어도비-현금 흐름표
어도비-현금 흐름표

결론부터 본다면, 순 현금 변동은 약 16억 달러 상승하였습니다. 이 결과에 어떠한 결과가 영향을 미쳤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의 영향은 거의 없습니다. 순 현금 변동 변화의 지분은 재무 활동 현금 흐름과 투자 활동 현금 흐름이 각 절반씩 있습니다.

투자 활동 현금 흐름에서 작년 동일 분기 대비 달라진 것은 Purchases of Short-term investments입니다. 작년 동일 분기에는 단기 투자했지만, 이번 분기에서는 단기 투자 비용이 없고, 단기 투자에 대한 만기 비용 역시 증가하였습니다. 따라서 재무 활동 현금 흐름은 오히려 현금 흐름이 생성된 결과를 보이고 있죠.

재무 활동 현금 흐름에서 작년 동일 분기 대비 크게 달라진 것은 자사주 매입 비용의 감소이죠. 약 66% 정도로 줄어들었으며, 수치로는 12억 달러 감소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무 활동 현금 흐름은 감소하였죠.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순 현금 흐름의 변동은 다소 증가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재무 및 투자 활동 현금 흐름의 감소였죠. 일반적으로 투자 활동 현금 흐름은 음의 값을 보여주는 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나머지 항들은 유지하고 있으며, 단기 투자에 대한 비용만 달라졌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될 것은 없다고 봅니다. CAPEX는 20% 정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투자 감소라는 것도 아닙니다!

어도비 : 투자해도 될까?

펀더멘탈 분석

어도비의 재무제표를 분기별로 기입해둔 엑셀을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년도 4분기부터 23년도 2분기까지 총 11분기를 기록한 거요. 분기별로 추세를 한번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어도비-분기별 펀더멘탈
어도비-분기별 펀더멘탈

손익 계산서 : 강력한 모습

어도비의 매출은 9분기 동안, 계속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매출 총이익 역시 지속해서 증가시키는 강력한 모습이죠. 특이한 점을 하나 찾아볼 수 있어요. 매출 총이익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제품을 제조 및 생산하는데, 매출 원가가 극히 적을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69% 수준인데, 어도비는 평균 88%의 매출 총이익률입니다.

영업 이익과 순이익은 다소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꾸준히 상향했던 매출과 매출 총이익과는 달리 2022년 6월, 2022년 9월 다소 하락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시즌이 어떤 시즌일까요? 피그마 인수 시기랑 겹칩니다. 이 시즌을 기점으로 다시 영업 이익과 순 이익의 증가를 볼 수 있죠.

  • 매출 : YoY 및 QoQ 대비 증가
  • 매출 총이익 : YoY 및 QoQ 대비 증가
  • 영업 이익 : YoY 및 QoQ 대비 증가
  • 순이익 : YoY 및 QoQ 대비 증가

위의 정리는 2분기 매출 분석에서도 언급했던 것처럼, 모든 지표가 강력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매출 및 매출 총이익은 지속해서 우상향하는 것과 달리, 영업 이익과 순이익은 2022년 6월, 9월 안 좋은 모습을 보여줬죠. 하지만, 이 시기를 기점으로 다시 반등하여 11분기 동안 최고의 수치를 보여줬습니다!

부채 비율 : 안정적인 부채 비율

어도비의 부채 비율은 본다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적정 수준의 유동 비율과 단기 채무 / 총채무, 그리고 부채 비율을 본다면 부채로부터의 위험은 없다고 볼 수 있죠. 11분기 동안 부채보다 자본이 지속해서 많은 상황이기에, 크게 우려할 점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어도비 목표 주가

전문가들이 평가한 목표 주가 : $522.56

어도비-목표 주가
어도비-목표 주가

Seeking Alpha를 참고해보면, 알파벳의 목표 주가를 $522.56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7/17일 기준으로, 약 현재 주가에서 +1.5% 정도의 상승 여력이 있는 편입니다. 위의 Valuation 평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현재 안전 마진이 없는 상태죠

1차 매수와 2차 매수를 통해 최소 안전 마진 15% 이상을 구축해야 합니다. ‘미국 주식: 투자 이유와 방법-2편’에서 어느 정도의 안전 마진을 남겨야 한다고 얘기했었죠? 현재 1차 매수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안전 마진이 확보되어있기 때문에 매우 괜찮아 보입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매수 타이밍은 아래의 차트 분석을 통해서 다루어보겠습니다!

내가 평가한 목표 주가 : $472.05
  • 2027년 예상 EPS : $25.11
  • 2027~2031년 평균 EPS 성장률 : 13.6%
  • PEG : 2.2
  • Forward P/E Ratio : 29.9
  • 2027년 목표 주가 : $750.78
  • 할인율 : 12.3
  • 2023년 목표 주가 : $472.05

제가 평가한 알파벳의 목표 주가는 472.05달러입니다. 보수적으로 계산한 목표 주가에요. 왜냐하면, Seeking Alpha에서 평가한 EPS 성장률과 섹터 평균의 평균인 13.6%를 적용했기 때문이죠. 전 매수를 위한 보수적인 목표 주가를 선정하여, 안전 마진을 구축합니다. 따라서 저의 최대 평균 단가는 1472.05달러 이하로 유지할 목표입니다!

어도비 : 어떻게 매매해야 할까?

제가 진행하는 차트 분석은 여러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합니다. 관련된 글을 먼저 참조하시고, 차트 해석을 본다면 보다 쉬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지지 및 저항 라인 분석

상 : 어도비 일봉 차트 / 하 : 어도비 주봉 차트
상 : 어도비 일봉 차트 / 하 : 어도비 주봉 차트

지지 라인 : 460달러 / 405달러

일단 차트 분석했을 때, 확인되는 지지 라인은 460달러와 405달러로 확인됩니다. 첫 번째 지지 라인이 460달러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50일 이동평균선 및 볼린저 밴드 하단이 위치한 가격이기 때문입니다. 주봉 차트 상으로 20주 이동 평균선이 436달러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충분히 조정 가능한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주가가 추가적인 조정을 받는다면. 2차 지지 라인은 405달러라고 생각합니다.  일봉 차트 상에서 200일 이동 평균선이 405달러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주봉 차트 상에서도 200주 이동 평균선은 405달러에 형성되어 있죠. 또한, Envelope 20% 지지선 역시 405달러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여유를 가지고 매수를 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현재 주봉 차트를 본다면, 현재 주가는 20주 이동 평균선과도 이격도가 큽니다. 다시 말한다면, 주봉 차트상 단기 과열이라고 볼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추격 매수는 상당히 위험하다고 봅니다.

저항 라인 : 500~530달러

저항 라인은 500~530달러로 확인됩니다. 즉 현재 가격 라인이 저항 라인이라는 것이죠. 주가가 횡보가 나오는 것은 너무나도 자연스럽습니다. 아직 일봉과 주봉 차트 상에서 매도 시그널이 확실히 나오지 않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추세 강도 역시 전환을 하지 않았죠.

그렇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승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승 폭은 어느 정도 제한이 되어 보인다는게 제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그래서 주가가 상승하더라도., 추격 매수보다는 매수 라인을 지키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주가가 날라간다면, 제 종목이 아닌 것이죠.

매수 계획 : 1차 매수 (460달러) / 2차 매수 (405달러)

어도비는 제가 눈 여겨 보는 종목 중 하나입니다. 저도 종목을 보유하고 있지 않죠. 그렇기 때문에, 지속해서 주가의 추이를 눈여겨 보고 있죠. 그래서 정확하게 라인을 지킬 생각입니다. 만약 기회를 주지 않는다면, 다른 종목으로 시선을 돌릴 것이구요.

위와 같은 관점에서 본다면, 1차 매수는 460달러 부근에서 진행을 할 것이며, 2차 매수는 405달러 부근에서 하여 평균 단가에 안전 마진을 구축할 것입니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본인의 매수 최대 목표 주가를 세웠다면, 그것을 지키는 것이 자신을 위험성 자산으로부터 지키는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어도비 기업 분석과 주가 분석에 대해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사람마다 기업과 차트를 보는 관점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저랑 다른 관점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서로 진전한다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

Leave a Comment

/* This script enhances the image viewing experience within WordPress posts by enabling a modal popup functionality. When a user clicks on an image that isn't contained within a hyperlink, the image is displayed in a full-screen overlay, or 'modal', thus focusing the user's attention solely on the image. The modal can be closed either by clicking on the 'X' button positioned in the top right corner, or by clicking outside the image. This provides an engaging and user-friendly way to view images in WordPress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