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 어닝 서프라이즈? 주가 상승 이유 분석

  • https://mdou-life.com/wp-content/uploads/2023/07/nblog.png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저번에 아마존을 분석 했던 글 기억나시나요? 1분기 실적 분석까지 다룬 글이니, 먼저 아마존을 읽고 오시면 훨씬 큰 이해가 될 겁니다!

아마존 : 23년 2분기 실적은 어땠을까?

아마존 : 손익 계산서 분석

아마존의 23년 2분기 실적은 어닝 서프라이즈입니다! 직전 분기 및 작년 동일 분기 대비 매출, 매출 총이익, 영업 이익, 순이익, 주당 순이익 모두 증가한 분기였습니다. 그렇다면, 손익 계산서부터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Financial Highlight

손익 계산서
23년 2분기 아마존 손익 계산서

위의 사진은 YoY 기준으로 비교한 손익 계산서이며, 아래 사진은 분기별로 손익 계산서를 정리한 표입니다. YoY 기준으로 본다면, Revenue는 +10.8% 상승하였습니다. 제품 매출은 약 +4.3% 상승하였으며, 서비스 매출은 16.5% 상승하였습니다. 매출 총이익은 +18.4% 상승하였죠.

영업 이익 특히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영업 이익은 +132% 상승하여, 2배 이상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순수익 역시 22년 2분기에는 적자를 기록했지만, 이번 분기는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주당 순이익 역시 개선되었죠. 다만 순이익과 주당 순이익은 리비안 투자로 인하여, YoY로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QoQ 기준으로 분석을 해 볼때, 매출은 +5.5% 상승하였습니다. 매출 총이익은 +9.15% 상승하였으며, 영업 이익은 +67.2% 상승하였습니다. 순이익은 +113% 상승하였습니다. 주당 순이익은 +109% 상승하였습니다.

[Summary]

  • Revenue : $134,383 ( Vs YoY : +10.8% / Vs QoQ : +5.5%)
    • Consensus : $131.100
  • Gross Profit : $65,010 (Vs YoY : +18.4% / Vs QoQ : +9.15%)
  • Operating Income : $7,681 (Vs YoY : +132% / Vs QoQ : +67.2%)
    • Consensus : $53,300
  • Net Income : $6,750 (Vs YoY : +333% / Vs QoQ : +113%)
  • EPS : $0.65 (Vs YoY : +325% / Vs QoQ : +109.7%)
    • Consensus : $0.35
  • $ in millions

[2023년 Guidance]

  • Revenue : $138,000~143,000 (Vs Consensus : $138,300)
  • Operating Income : $55,000~85,000 (Vs 54,100)

Revenue By Region

지역별 매출
지역별 매출

위의 사진은 북미에서의 매출 및 영업이익, 해외에서의 매출 및 영업이익, AWS의 매출 및 영업이익을 나타낸 자료입니다. 북미에서의 매출 및 영업 이익은 전년 대비 모두 증가한 긍정적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매출은 증가하였지만, 영업 손실을 기록했죠. 다만 영업 손실 폭은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북미 : 매출 (전년 대비 11% 증가한 825억 달러) / 영업이익 (32억 달러)
  • 해외 : 매출 (전년 대비 10% 증가한 297억 달러) / 영업손실 (9억 달러)

Revenue By Segments

사업 부문별 매출
사업 부문별 매출

아마존 사업 부문은 크게 6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분기 결과가 인상적인 이유는 6가지 사업 부문 모두 직전 분기 대비 상승하였다는 점입니다. 직전 분기 대비 Online Store은 +4%, Physical Store은 +3%, Thrid Party Seller Service는 +8% 성장이 이었습니다. 또한, Subscription Service는 +2%이며, AWS는 +4%, Advertising Service는 +14% 성장이 있었습니다.

AWS 성장률
AWS 성장률

아마존은 [아마존 : 기업 및 이슈 분석과 차트 분석]에서 분석한 것과 같이 클라우드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클라우드 기업들의 공통적인 특징들은 역성장이라는 우려를 안고 있다는 점이죠. 그렇다면, 중요한 것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비교하여 아마존의 성장률은 어느 정도인지 분별해봐야 합니다. 아래의 사진을 함께 볼게요~

Cloud 비교
Cloud 비교

위의 사진을 함께 보면 아마존의 AWS,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구글의 GCP의 연간 성장률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분기 실적 결과를 기준으로, 구글은 +28%, 마이크로소프트는 +26%를 기록한 반면, 아마존은 +12%를 기록했죠. 아마존의 AWS의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하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어닝콜에서 어떻게 얘기를 했는지 한번 살펴볼게요. 결론적으로 아마존 CEO 앤드류 제시는 AWS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성장률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어닝콜의 내용에 따르면, 대부분 비용 최적화된 다양한 고객 기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의 성장을 위한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했습니다.

아마존 : 대차대조표 분석

아마존 대차대조표

이번 분기 대차대조표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SEC에 제출된 아마존 10Q 분기별 보고서를 보면, 22년 4분기와 23년 2분기를 비교한 대차대조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유동자산은 현금성 자산 및 유가 증권의 감소로 다소 감소하였지만, 총 자산은 22년 4분기와 비교하여 +4% 상승하였습니다. 직전 분기인 23년 1분기와 비교한다면, 2.8% 상승하였죠.

22년 4분기 대비 매입 채권의 큰 감소로 인하여 유동 부채는 다소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결과적으로 -2.4%로 감소하였죠. 직전 분기와 비교를 해도, -0.3%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부채 비율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죠. 아마존의 부채 비율은 12분기라는 기간 동안,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분기 부채 비율이 183%로 개선된 재무 상태를 엿볼 수 있죠.

하지만, 유동 비율은 다소 아쉬운 값인 95%입니다. 200%가 넘어야 이상적인 수준이지만, 지금 아마존의 유동 비율은 다소 부족한 상황이죠. 또한 당좌 비율은 46%죠. 23년 1분기까지 채무 / EBITDA는 144%였으며, 채무 / 자본금 역시 100.16%였습니다. 부채 비율이 개선된 것은 상당히 긍정적이지만, 부채가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죠.

아마존 : 현금흐름표

아마존 현금흐름표
아마존 현금흐름표

영업 활동 현금 흐름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은 YoY 기준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왜 증가하였을까요? 영업 활동 현금 흐름에 큰 변화를 끼친 요인은 Net Income의 큰 증가입니다. 물론, 감가 상각비의 증가 및 주식 기반 보상의 증가도 있었죠. 뿐만 아니라, 재고 자산 및 매입 채권도 증가하였습니다. 다만, 이연 법인세의 감소 및 비영업 자산의 감소로 상쇄되었습니다.

투자 활동 현금 흐름

투자 활동 현금 흐름은 다소 감소하였습니다. 감소의 주된 이유는 유형 자산 구매 비용이 감소했죠. 우리는 여기에서 어닝콜에서 CapEX에 대해 어떠한 언급을 하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위의 현금 흐름표에서 Twelve Months Ended를 보시죠.

아마존에서 자본 투자는 자본 지출과 장비 금융 리스의 조합으로 정의합니다. 즉, CapEX는 Purchase of property and equipment와 Proceeds from property and equipment sales and incentives의 합으로 정의되죠. 6월 30일에 종료된 12개월 동안 CapEX는 540억 달러로, 전년 동기 610억 달러보다 감소하였죠.

또한 2023년 전체를 기간으로 둔다면, 500억 달러를 약간 넘은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즉 전년 대비 CapEX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문 처리 및 운송 CapEX는 전년 대비 감소할 것이며 인프라 CapEX 증가로 부분적으로 상쇄되어, 결론적으로 다소 감소할 것이라는 것이죠.

또한 잉여 현금 흐름은 2022년 6월 30일에 종료된 12개월 동안 235 달러의 유출과 비교하여, 12개월 동안 유입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아마존 : 실적 요약

이번 분기 실적 발표는 전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손익 계산서 상에서 QoQ 및 YoY 대비 압도적으로 증가한 결과를 볼 수 있었죠. 가이던스 및 컨센서스를 모두 상회한 것 또한 매우 긍정적입니다.

대차대조표를 분석해보면, 아마존은 부채 비율이 12분기 동안 최저를 찍는 긍정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다만, 부채에 대하여 마이크로소프트 및 구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죠. 유동 비율 및 당좌 비율도 다소 부족한 모습이지만, 부채 비율이 낮아지는 모습은 긍정적이라는 것입니다!

현금 흐름표 상으로 순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되어 영업 활동 현금 흐름 역시 증가하였습니다. 다만, CapEX는 다소 감소하였죠. 잉여 현금 흐름의 유입이 생긴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아마존 : 어떻게 매매해야 할까?

제가 진행하는 차트 분석은 여러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합니다. 관련된 글을 먼저 참조하시고, 차트 해석을 본다면 보다 쉬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아마존-차트
아마존-차트

지지 및 저항 라인 분석

지지 라인 : 122달러 / 132달러

전에 분석했을 때는 122달러와 109달러가 지지 라인이라고 했습니다.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8~10% 급등하여 약간의 조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122달러와 132달러라고 판단됩니다.

일봉 차트를 주목해보면, 122달러는 50일 이동 평균선과 볼린저 밴드의 하단이 위치한 자리입니다. 또한, 132달러는 20일 이동 평균선이 위치한 자리입니다. 아마존의 가이던스까지 긍정적으로 나온 상황에서, 122달러 이탈은 지금으로서는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 보입니다.

또한 122달러는 120주. 200주, 224주 이동 평균선이 위치한 자리입니다. 시장의 과열에 대한 조정으로 주가가 하락되어도, 122달러는 꼭 지켜줄 것이라고 현재 관점에서 예측됩니다.

저항 라인 : 142달러 / 165~171달러

저항 라인은 142달러로 과거의 분석과 유효합니다. 오늘 주가가 급등하여 현재 주가가 142달러에 형성되어 있죠. 이 가격은 매물이 많이 형성되어 있는 가격이기 때문에, 돌파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다음주 조정이 일어난다면 133~142달러에서 주가가 움직일 확률도 높죠.

하지만 주가가 상승하여, 과열을 타고 간다면 다음 저항은 165~171달러라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주가가 조정이 된다면, 단기 저항 라인은 142달러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좀 더 길게 본다면 165~171달러가 다음 저항으로 작용할 확률이 크죠.


이상으로 아마존 실적분석에 대해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사람마다 기업과 차트를 보는 관점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저랑 다른 관점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서로 진전한다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

Leave a Comment

/* This script enhances the image viewing experience within WordPress posts by enabling a modal popup functionality. When a user clicks on an image that isn't contained within a hyperlink, the image is displayed in a full-screen overlay, or 'modal', thus focusing the user's attention solely on the image. The modal can be closed either by clicking on the 'X' button positioned in the top right corner, or by clicking outside the image. This provides an engaging and user-friendly way to view images in WordPress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