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8.30 미국 증시 정리 및 31일 증시 이슈

  • https://mdou-life.com/wp-content/uploads/2023/07/nblog.png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2023.08.30일 증시 정리

미국 증시 요약

미국 증시
출처 : FInviz

[Summary]

  • S&P500 : +17.24(+0.38%) -> 4,514.87 마감
  • NASDAQ : +75.55(+0.54%)->14,019.3 마감
  • DOW : +37.57(+0.11%)->34,890.2 마감

금일 미국 증시는 3개의 지수 모두 소폭 증가하였으며, 나스닥의 상승폭이 가장 큰 +0.54%를 기록하며 마감하였습니다. 장 초반에 상승을 한 뒤, 하락을 하여 음전을 하는 듯 보였으나 상승하여 상승 마감하였죠. 그렇다면, 어떤 것들이 증시의 상승을 이끌었을까요?

FInviz
출처 : Finviz

위의 사진을 보면 각 섹터별 상승률을 확인할 수 있는 Finviz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시가 총액 1위인 애플이 +1.92% 상승하며, 기술주의 상승을 이끌었죠. 또한, Healthcare와 Financial, Utilities 섹터는 주가가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미국 경제 지표

[Summary]

  • 8월 ADP 민간 비농업 고용 변화량 : 177K ▼ (예상 : 195K / 이전 : 324K)
  • 2분기 실질 GDP 성장률 : 2.1%▼ (예상 : 2.4% / 이전 2.0%)
  • 2분기 근원 PCE : 3.7%▼ (예상 : 3.8% / 이전 4.9%) -> 분기 PCE이므로, 월별 PCE가 매우 중요

8월 ADP 민간 비농업 고용 변화

ADP 민간 비농업 고용 변화의 중요성은 고용통계국의 고용 레포트보단 다소 낮습니다. 또한,고용통계국과 결과가 일치한다고 보기도 힘들죠. 때론 더 많이 나오기도 하며, 때론 더 적게 나오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주목하는 이유는 대략적인 고용 변화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 인플레이션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이기 때문이죠.

ADP 비농
출처 : ADP Employment Report

8월달 민간 고용의 경우 177,000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예상치인 195,000보다 낮은 값이며, 이전치인 324,000보다 대폭 하락한 값이죠. 또한 Job-Stayers(직장 유지자)의 경우 임금 상승률은 5.9%이며, Job-Changers(직장 변동자)의 경우 9.5%를 기록했죠. 전월은 Job-Stayers는 6.2%, Job-Changers는 10.2%를 고려하면 확실히 둔화되고 있습니다!

2분기 실질 GDP

미국의 2분기(4~6) GDP는 전기 대비 2.1% 증가한 결과를 보고 했습니다. 앞서 발표된 속보치(2.4%)보다 하회하는 값을 보여주며, 연준이 원하는 완만한 경기 둔화의 증거를 목격하였다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연준이 잠재 성장률로 제시한 1.8%를 상회하는 값이기도 합니다.

미국 GDP
출처 : bea/gov

다만 1분기 대비 상승하여, 여전히 경제가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기준 금리가 5.25%인 상황 속에도 불구하고 계속된 GDP의 성장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없앨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지만, 이와 동시에 여전히 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보여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국 금리 예측치

금리 인상 가능성
상 : 9월 금리 예측치 / 하 : 11월 금리 예측치(출처 : CME Fedwatch)

Fedwatch 자료에 따르면, 9월 금리 변화는 90%의 압도적인 비율로 동결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반면 11월엔 50.1% 비율로 동결을 예상하고 있으며, 45.5% 비율로 25bp 인상을 예상하고 있죠. 따라서 우린 지속적으로 CPI, PPI, PCE 데이터에 주목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금리 인상 가능성이 올라오고 있는 가운데, 우린 Data에 따른 증시의 방향성이 결정되는 상황에 노출될 거에요.

2023.08.31일 증시 정리

7월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발표(예측치 : 4.2% / 이전치 : 4.1%)

7월 PCE의 결과가 매우 중요합니다. 연준에서 주목하고 있는 Data이면서, 연준은 PCE 2%를 목표로 하고 있죠. 이번 근원 PCE 예측치는 전월 결과(4.1%)보다 증가한 4.2%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원유 감산으로 인한 원유 가격의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죠.

당연히 4.2%보다 낮은 결과를 보이는 것이 인플레이션 둔화에 긍정적이며, 증시에는 강력한 청신호로 작용하겠죠. 하지만 만약 예측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인다면 1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더욱 대두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인하여 증시에는 부정적일 것입니다.

해당 지표 발표는 한국 시간 기준으로 31일 21시 30분에 발표됩니다. 프리장에 발표됨으로서, 오늘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지을 수 있죠. 월요일날 Jolts의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한 증시 상승분에 대하여 어느 정도 되돌림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해당 지표는 주목하셔야 합니다!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예측치 : 235K / 이전치 : 230K)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도 동일 시간인 31일 21시 30분에 발표됩니다. 고용 시장의 둔화를 위해선 실업수당청구건수는 예측치를 상회하는 값이 나올수록 긍정적입니다. 다만, 큰 폭의 상회는 경제 침체의 우려를 증시에 전해줄 수 있습니다만, 현재의 상황 상 경제 침체의 우려가 시장에서 없어졌기 때문에 이 경우는 가능성이 적다고 봅니다.


8월 31일과 9월 1일 나오는 경제 지표들은 중요도가 상당합니다. 결과에 따라 9월 FOMC 전까지 증시의 방향성을 결정지을 수도 있죠. 따라서 해당 지표들을 체크해두시면 투자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

Leave a Comment

/* This script enhances the image viewing experience within WordPress posts by enabling a modal popup functionality. When a user clicks on an image that isn't contained within a hyperlink, the image is displayed in a full-screen overlay, or 'modal', thus focusing the user's attention solely on the image. The modal can be closed either by clicking on the 'X' button positioned in the top right corner, or by clicking outside the image. This provides an engaging and user-friendly way to view images in WordPress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