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미국 증시는 나스닥, 다우존스, S&P 모두 소폭 상승하여 마감하였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15 시리즈 예약 판매가 순항 중이라는 소식에 상승하였으며, 테슬라는 골드만삭스의 하향 조정에 하락하였죠.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2023.09.18일 미국 증시 정리
미국 증시 요약

[Summary]
- S&P500 : -+3.21 (+0.07%) -> 4,453.53 마감
- NASDAQ : +1.90 (+0.01%)->13,710.0 마감
- DOW : +6.06(+0.02%)-> 34,624.3 마감

오늘 증시는 NASDAQ, S&P 500, DOW 모두 소폭 증가하며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증가라고 하기엔 무색하고, 거의 보합 수준이라고 말씀 드리는게 맞겠죠? 종목들은 대체로 개별적인 소식으로 상승 및 하락을 한 하루였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각 섹터별 상승률을 확인할 수 있는 Finviz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크게 주목할 종목은 두 종목으로, 애플과 테슬라입니다. 애플은 최근 출시한 아이폰 15의 예약 판매 급증과 테슬라는 골드만삭스의 EPS 전망 하향 조정 소식에 하락하였죠. 구체적으로 한번 알아볼게요!
애플, 중국에서 아이폰 15 예약 매진?
최근 애플은 지속적인 중국 악재가 주가의 걸림돌 역할을 했습니다. 그것은 중국 공무원들은 아이폰 금지령과 화웨이의 상징성 높은 메이트 60프로 출시로 인하여 점유율 감소할 것이라는 소식이었죠. 관련된 글을 먼저 읽고 오시면 이해가 편할 것입니다. 아래 글들을 참조해주세요!
이런 상황 속, 최근 중국에서 아이폰 15 시리즈의 예약판매가 개시 1분 만에 매진됐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최근 악재에 대하여, 괜한 우려를 잠재우는 놀라운 결과였죠. 저는 위의 글에서 애플의 악재는 단기적인 악재이며, 오히려 주식 저가 매수의 찬스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구체적으로 위의 소식을 알아보면,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티몰에서 아이폰 15 시리즈 판매가 시작되었고, 시작 1분 뒤 프로와 프로맥스 모델이 전부 매진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애플 홈페이지 서버가 일시적으로 다운됐으며, 배달 플랫폼 메이투안의 매출도 예약판매 30분만에 약 365억원을 넘어섰죠. 심지어 11월 이후가 되어서야 제품을 수령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테슬라, 골드만삭스의 EPS 하향 조정
골드만 삭스에서 테슬라의 주당 조정 순이익(EPS)를 하향 조정했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근거는 차량의 추가 가격 인하가 테슬라의 높은 마진율의 감소와 더불어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이죠. 구체적으로 2023년 테슬라의 주당 조정 순이익을 3달러에서 2.90달러로 하향했으며, 2024년은 4.25달러에서 4.15달러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저는 테슬라의 미래 전망과 미래 가치에 대하여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그 글에서는 테슬라의 현재 사업 소개와 사업 현황, 그리고 주가 분석을 했죠. 테슬라는 현재 마진율보다 중요한 것이 시장의 점유율이라고 생각을 하며, 저가로 더 많은 차량을 인도하기 위한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시장의 점유율을 더욱 차지할 수 있으며, 시장의 높은 점유율은 FSD 누적 주행거리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죠. 그렇다면 지금 엄청난 자금을 통해 투자중인 슈퍼컴퓨터 Dojo와 함께 확실한 자율 주행 기반의 소프트웨어 능력을 갖춘 최고의 전기차 회사로 거듭날 수 있는 것입니다. 단기적인 마진율 악화를 감안하고 미래를 선택한 것이죠.
제 의견과 같게, 위의 주당 조정 순이익을 하향한 분석가 역시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에 따라 전체 생산 증가로 차량 인센티브와 세금 공제 이전의 총 마진 자체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EV분야의 리더십 위치,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에너지 시장의 성장 잠재력 등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죠,
유가와 달러 인덱스

유가는 서부 텍사스유 기준으로 배럴당 90.58달러를 기록하며 90달러 이상의 고유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미중 갈등의 심화 및 이번주 FOMC를 앞두고 여전히 고달러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죠.
고유가로 인하여 최근 CPI 지수 역시 시장의 가이던스 및 예측을 상회하였습니다. 옐런 재무 장관은 인터뷰를 통하여 유가가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으며, 바이든 대통령 역시 휘발유 가격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죠.
유가 안정을 위해선 셰일업체들의 세금 감면 정책으로 빠른 증산을 통한 방법이 있겠지만, 대선을 앞두고 이 방법은 마지막 수단이 되겠죠. 아마 WTI가 100달러가 넘어가는 상황에서 비장의 카드로 꺼낼 확률이 큽니다.
2023.09.18일 Fed Watch

이번주 FOMC가 예정되어 있는 가운데, 시장은 신중하게 움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개별 종목의 호재 및 악재로 주가가 움직일 확률이 크죠. 시장은 9월 FOMC에서 거의 100%에 가깝게 금리 동결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11월과 12월 역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금리 인상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있죠.
금리 인하 시기는 대략적으로 24년 5월 및 6월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미국 증시는 FOMC의 점도표에 초점을 둘 것입니다. 이미 금리 동결은 시장에 선반영되어 있다고 보이며, 금리 동결이라는 독립적인 결과로 시장이 상승으로의 전환을 하기엔 힘들죠. 오히려 점도표가 매파적이냐, 비둘기적이냐에 따라 시장은 움직일 것입니다.
따라서 점도표 상, 2024년 금리인하를 얼마나 하는지가 정말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상황이 결정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국 시간 기준으로 9월 21일 오전 3시에 금리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이번주 FOMC를 앞두고 시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한번 지켜볼게요. 최근 반도체 장비주가 약한 상황 속, 회사의 펀더멘탈 자체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좀 더 중기적인 마인드로 주가가 떨어진다면 추가 매수의 기회로 여유를 갖고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