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주, 파월 의장의 다소 비둘기적인 발언과 고용 시장의 둔화가 보이면서 증시는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전 미국 주식 3배 레버리지에 대해 계속 모니터링 함으로서, 단기적 투자도 병행할 생각입니다. 저와 같이 투자를 진행하실 분은 댓글로 같이 해요!
미국 주식 3배 레버리지
미국 주식 3배 레버리지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분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High Risk, High Return의 대표적인 상품이죠. 제가 커버할 3배 레버리지 상품의 종류와 투자 스타일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미국 주식 3배 레버리지 ETF 종류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QQQ의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ETF가 TQQQ입니다. 기술주 위주로 구성된 나스닥 100 지수 수익률의 3배로 움직이는 상품이기 때문에 큰 변동성을 보인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 운용사 : Proshares
- 배당률 : 0.86% (분기 배당)
- Trading Volume : 114,330,614
- 운용 수수료 : 0.98%
TQQQ는 IT(48.58%), Communication Services(16.01%), Consumer Discretionary(14.13%), Health Care(7.12%), Consumer Stapies(6.60%), Industrials(4.94%), Utillities(1.24%), Financials(0.56%), Energy(0.55%), Real Estate(0.2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T가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만큼, 기술주 위주의 상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겠죠?
TQQQ를 구성하는 상위 10개 기업은 애플(10.82%), 마이크로소프트(9.48%), 아마존(5.30%), 엔비디아(4.34%), 메타(3.78%), 테슬라(3.21%), 알파벳A(3.14%), 알파벳C(3.09%), 브로드컴(2.97%), 코스트코(2.17%)입니다.

SOXL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인 SOX를 3배 수익률로 추종하는 ETF입니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TQQQ보다 더 큰 변동성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죠. 미중 갈등으로 인하여, TQQQ보다 주가 방어 및 상승 모멘텀의 힘이 약한 상황입니다. 오히려 중기적 기회로 생각하실 수도 있죠.
- 운용사 : Direxion
- 배당 수익률 : 0.71%
- Trading Volume : 88,065,892
- 운용 수수료 : 0.94%
SOXL을 구성하는 종목을 섹터로 구분하자면, 반도체 섹터(80%)와 반도체 재료 및 장비(20%)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SOXL을 구성하는 상위 10개 기업은 AMD(8.35%), 브로드컴(7.72%), 엔비디아(7.56%), 인텔(6.76%), 텍사스 인스트루먼트(6.32%), 마이크론(4.17%), NXP(4.17%), 퀄컴(4.16%), 아날로그 디바이스(4.13%),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4.09%)로 구성되었죠.
FNGU(MicroSectors Fang+ Index 3X Leveraged ETN)

FNGU는 기술주 중에서도 규모가 정말 큰 빅테크 기업들로 구성된 상품입니다. TQQQ같은 경우, 100개의 기업에 투자를 하는 상품인 반면, FNGU는 10개의 기업에만 투자를 하는 상품입니다. 기업의 수가 적어서 헷지(위험 분배)가 걱정된다는 우려가 될 수도 있죠. 다만, 이번 상승장만 본다면 빅테크 위주의 상승장이었습니다. 즉 오히려 빅테크 기업이 헷지가 될 수도 있죠.
- 운용사 : BMO
- 배당 수익률 : X
- Trading Volume : 2,242,456
- 운용 수수료 : 0.95%
FNGU를 구성하는 종목은 메타(12.53%), 테슬라(11.71%), 엔비디아(10.66%), AMD(10.03%). 넷플릭스(9.65%), 애플(9.39%), 아마존(9.35%), 스노우 플레이크(9.10%), 마이크로소프트(8.84%), 알파벳A(8.74%)입니다.
투자 스타일 : 단타 및 스윙
저의 레버리지 투자 스타일은 단타 및 스윙입니다. 물론, 장기적으로 모아가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죠. 하지만 그것은 결론적인 얘기이며, 현재 미국 증시는 정말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전쟁이라는 지정학적 리스크, 높은 채권 수익률, 양적 긴축 및 고금리 상황으로 한 주, 한 주 상황이 급변합니다. 즉 변동성이 엄청 심하다는 얘기죠.

위의 차트는 나스닥을 추종하는 QQQ 일봉 차트입니다. 고점과 저점을 내리고 있는 하락 박스권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1월에 들어,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하락에 대한 공포는 다소 없어진 상태입니다만, 추세적 돌파를 해주지 않으면 기술적 저항이 나오는 자리죠,
즉, 요약하자면 아직도 거시 경제는 위험 리스크가 많으며, 지수는 추세 전환을 하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그렇기에 크게 수익을 내는 구조보다는 익절을 확실히 해가며, 수익 확정을 하는 것이 더욱 안정적인 방법이라는 뜻이죠. 그렇기에 저 역시 단타 및 스윙으로 전략을 취한 것입니다.
차트 분석
TQQQ

이제부터 기술적 분석을 시작하겠습니다. 일단 녹색 추세선을 한번 봐주세요. 현재 고점을 내리면서, 녹색 추세선에 저항을 받고 추세 전환에 지속적으로 실패하는 모습이 보이죠? 현재 매수를 하려는 분들이 계시다면, 전 말리고 싶습니다. 지금은 매수 타이밍이 전혀 아닙니다.
이와 동시에 남색 박스가 보이실까요? 9월 20일에 형성된 갭 하락 구간입니다. 갭 하락의 의미에 대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 갭 하락에서는 단기적인 저항이 일어난다고 해석합니다. 엄청난 하락에 대해, 본전이 오니 매도 물량이 나오는 것이죠. 물론 추세가 강하다면 돌파할 수도 있으니, 무조건이라는 것이 아니에요.
녹색 추세선과 남색 갭 하락 박스를 볼 때, 전 현재의 주가에서 상승보다는 하락을 바라보는 편입니다. 어느 정도 주가의 하락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작은 상승을 무시할 수 있는, 즉 FOMO를 느끼지 않을 자신이 있으신 분들에게 32달러를 추천드립니다. 224일 이동 평균선이 위치한 자리이며, 5월달에 형성된 갭 구간이죠. 이 때 갭 상승 구간은 강력한 지지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위의 보조 지표를 보시면, 현재 주가의 매수 및 매도 적정 포인트를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보조 지표는 주황색 선과 보라색 선이 모두 위에 있을 때, 주황색 선이 보라색 선을 아래로 크로스 시킨다면 매수 적기이죠. 반대로 두 선 모두 아래에 있을 때, 주황색 선이 보라색 선을 상향 돌파한다면 매도 적기입니다.
두 번째 보조 지표는 이와 반대로, 빨간색 선과 검은색 선 모두 아래에 있을 때, 빨간색 선이 검은색 선을 상향 돌파한다면 매수 적기이죠. 빨간색 선과 검은색 선이 모두 위에 있을 때, 빨간 선이 검은 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적기입니다. 이 두 개의 지표는 같이 봐야 하죠.
그렇다면 현재의 상태는 어떤가요? 매도 시그널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추가적으로 더욱 상승할 수 있다는 얘기죠. 즉 종합해보면, 급격한 상승으로 추세적 저항선에 의해 기술적 저항이 나올 수 있으나 좀 더 중기적으로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전 32달러에 진입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좀 더 공격적인 매매를 원하시는 분들은 20일 이동 평균선이 형성된 35달러에서 1차 진입을 한 뒤, 30달러에서 2차 진입을 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SOXL

SOXL 역시 저번 주 엄청난 상승을 보였습니다. 단기적 저항인 초록색 저항선에 근접한 위치입니다. 추가적인 상승이 있더라도, 5월 달에 형성된 갭 상승 구간을 의미하는 남색 박스권이 19.18달러에 위치해 있습니다. 즉 19달러 부근에서는 기술적 저항이 작용할 확률이 크다는 의미죠.

마찬가지로 완벽한 매도 타이밍이 나온 것은 아닙니다. 다만, 선행을 하는 주황색 선이 너무 빠르게 내려왔습니다. 즉 주가가 너무 빠르게 급등했다는 의미죠. 뿐만 아니라 노란색 원이 보이시나요? 50일 이동 평균선에 지속적으로 저항을 받은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전 19달러 부근에서 매도를 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럼 언제 매수를 해야 할까요? 그건 매수 시그널이 언제 나오는 지를 확인해봐야 합니다. 적어도 2일에 한 번은 분석을 할 테니, 꼭 지속적으로 제 분석 글을 봐주세요. 다만 16달러가 다시 온다면 16달러 부근에서 다시 1차 진입을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릴게요.
현재 제 평균 단가는 16.99달러로 18.5달러에서 1차 매도를 완료했습니다. 2차 매도는 19~19.5달러에서 진행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다시 매수 시그널이 나오면 매수를 할 계획이죠. 전 과도한 상승만큼 어느 정도 다시 주가의 되돌림이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FNGU

FNGU도 마찬가지입니다. TQQQ, SOXL과 마찬가지로 추세 전환을 해주는지 혹은 기술적 저항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하는 순간이죠. 그렇기에 매수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128~137달러 부근 형성된 갭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결국 FNGU, SOXL, TQQQ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움직임 자체는 같다는 것이죠. 이번 주에 과연 미국 증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하고 매수를 해야 합니다. 만약 추세 전환에 성공을 하여, 상승한다면 상승 후 눌림 자리에서 매수를 해야겠죠? 이와 반대로 하락을 한다면, 지지를 받는 자리에서 매수를 해야 합니다.
요약
그렇다면 시나리오는 2가지입니다. 저항선에 지금 주가가 근접하여, 기술적 저항이 작용하여 주가가 조정되는 시나리오와 추세 전환을 하여 저항을 돌파해주는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SOXL, TQQQ, FNGU 모두 급등을 했지만 매도 시그널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제가 바라보고 있는 뷰는 어느 정도의 주가 조정으로 급등에 대한 상승을 조정한 뒤 상승할 것이라는 뷰입니다.
그래서 TQQQ의 경우, 1차 매수는 35달러에서 진행을 하고, 2차 매수는 30달러에서 매수를 하는 것입니다. SOXL의 경우 17달러에서 1차 매수를 하며, 14.5달러에서 2차 매수를 하는 것이죠. FNGU의 경우 148달러에서 1차 매수, 128달러에서 2차 매수를 하는 것입니다.
비중은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뷰에 따라 달라집니다. 상승에 대한 뷰가 강력하신 분들은 1차 매수에 50%를 진행하시면 되고, 하락에 대한 뷰가 강력하신 분들은 1차 매수에 20%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신규 진입하시는 분들은 지금은 매수 포인트가 아니라 분할 매도를 해야 하는 상황임을 꼭 인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미국 주식 레버리지 상품인 TQQQ, SOXL, FNGU에 대해 리뷰를 하였습니다. 적어도 2일에 한번은 글을 올려 대응 및 전략에 대해 서술하려고 합니다. 만약 제 글을 보면서 같이 진행하실 분들을 꼭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