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글에서는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이유와 ETF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얘기해보겠습니다.
개별 종목에 투자하라
개별 종목 : 시장 지수보다 높은 수익률
저번 글에서도 다룬 내용이지만,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시장 지수에 투자하는 것보다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장 지수에는 많은 종목들이 편성되어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시장의 주목을 받는 종목과 받지 못하는 종목들이 있죠. 그렇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시에 투자하는 것은 주목을 받는 종목들에 투자하는 것보다 수익률이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본인의 성향 차이도 있습니다. 귀찮은 게 싫거나, 시드가 정말 매우 크거나, 종목 검색하는 것이 힘들거나, 어떤 종목에 투자해야 하는 지 모르거나 등의 이유로 시장에 투자를 하곤 합니다. 실제로 워런 버핏도 ‘내가 죽으면, 나의 모든 돈을 인덱스에 투자하라.’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그만큼 시장의 수익률을 이기는 것은 정말 어렵기도 합니다.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것은 시장 지수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도 있지만, 시장의 수익률을 이기는 것만큼 수익을 내는 것은 정말 어렵다는 것 또한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우량한 종목들에 투자를 한다면 어떨까요? 우량한 대형주 위주로 투자를 하게 된다면, 재무 건전성이 확보되었으면서, 시장 지수보다 큰 수익률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미국 시장을 대표하는 3가지 지수의 올해(23.01~23.06)까지의 수익률을 비교한 것입니다.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는 것이 나스닥(QQQ)이죠? 약 38%의 수익률로 S&P 500(SPY)이나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DIA)를 훨씬 상회하는 값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의 사진을 통해, ‘올해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성장주 위주의 나스닥이구나.’라고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QQQ에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며, QQQ에는 무슨 종목이 있는지 찾아보게 될 것입니다. 두 번째 사진을 한번 볼까요? QQQ에 속한 기업들과 시가 총액이 큰 기업들의 올해 수익률을 비교해 본 것입니다. 엔비디아는 거의 200%에 달하는 수익률을 기록하였으며, 테슬라는 144%의 수익률을 기록하였고, 메타는 128%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가장 상승률이 낮은 종목인 구글은 나스닥의 수익률과 비슷하네요?
시장에 투자하는 것은 정말 좋은 방법입니다. 저 역시 나중에 시드가 매우 커지게 된다면, 그 때는 시장 지수에 투자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사회초년생인 저는 위험 리스크를 부담하면서, 좀 더 높은 수익률을 내고 싶은 것도 현실입니다. 이렇게 본인의 성향에 따라 시장 ETF에 투자할 지, 개별 종목에 투자할 지 나뉘게 되는 것이죠.
개별 종목 : 어떤 종목에 투자해야 할까?
빅테크 : 혁신을 선도하는 우량주
우리는 투자를 하면서, 빅테크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을 거에요. 빅테크의 의미는 대형 IT 기업과 대형 IT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기업들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도 메가캡이라고 불리는 종목들이 있습니다. 시가총액 2000억을 넘는 초대형주를 메가캡이라고 부르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메타, 테슬라, 넷플릭스, 엔비디아를 의미합니다.
정확히 구분하기는 힘들어요. 그렇기 때문에 시가총액 2000억을 넘거나, 그에 준하는 수준은 우량한 기업이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사실 저는 전 세계 시가총액 100위에 속한다면 우랑햐다고 보긴 합니다. 전 세계 시가 총액 100위인 종목(Conoco Phillips)의 시가 총액이 $123.46B이니까요.
소형주 :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블루오션
흔히 소형주에 투자하는 이유는 고성장을 하기 때문입니다. 소형주는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면서 성장하는 기업들입니다. 테슬라도 과거에는 소형주였고, 흑자전환을 하면서, 엄청난 성장을 이루어냈죠. 소형주는 이렇게 고성장을 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서는 ‘시장 바닥을 찍는다면, 소형주가 최고의 투자.’라는 보도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소형주는 가격 변동성이 심하죠. 위에서 말한 빅테크 및 우량기업들보다 현금 흐름도 좋지 않은 편입니다. 즉, 위험에 노출될 확률이 훨씬 높은 편이죠. 경제 사이클이 좋지 않은 경우, 빅테크 기업보다 더 큰 손실을 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위의 자료를 보시면, 코로나 고점에서 시작하여, 고금리 및 양적 긴축으로 인한 바닥까지 손실률이 어느 정도인지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애플은 -31%의 손실인 반면, 아이온큐는 -90%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소형주 투자에는 엄청난 리스크가 있어요. 리스크가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상승장에서는 더 큰 수익도 있겠죠?
그래서 어떤 종목에 투자해야 하냐고요? 이건 본인의 선택입니다. 소형주를 선택하신다면, 흔히 텐베거(10배 상승 종목)를 찾을 수도 있겠죠. 하지만 선택에 따른 리스크는 대형주보다 훨씬 클 것입니다. 대형주를 선택하신다면, 상대적으로 안전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대형주가 경제 사이클이 좋지 않은 경우에 강력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니에요. 대형주 중에서도 아직도 완숙한 성장을 이루어내지 못한 테슬라, 메타 등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에 비해서 큰 하락이 있었습니다. 시가 총액이 크다고 해서, 상승장에서 상승률이 낮고, 하락장에서 하락률이 낮은 것은 아니죠.
따라서 본인이 위험 리스크를 최대한 낮추고 싶은 경우에는 시장 지수 투자 및 대형 가치주에 투자를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중간 수준의 리스크를 감수하고, 수익률을 기대하고 싶으시면 고성장 대형주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텐베거를 찾고 싶으시다면 소형주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개별 종목 : 투자 방법
주식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
위의 내용에서 개별 종목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와 개별 종목은 어떻게 구분되는지 알아봤어요. 그리고 대형주와 소형주의 특징에 대해서도 알아봤습니다. 그래서 본인이 선택을 했다면, 이제 주식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시가 총액을 불문하고, 도움이 되는 사이트들이죠.
시가총액 순위를 알려주는 사이트 : Companiesmarketcap
시가총액 순위를 알려주는 사이트(클릭)에요. 본인이 투자한 기업의 시가 총액 순위가 궁금하다면 참고할 수 있는 사이트이죠. 뿐만 아니라, 매출, 배당, P/E Ratio의 순위를 볼 수도 있으며, 각 섹터 별 시가총액 순위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에요.
저는 Ranking By Categories에 다양한 섹터들에서 10위까지의 미국 기업들을 관심 종목에 추가하였습니다. 관심 종목에 추가한 뒤에, 매일 주가가 어떻게 되는지 체크를 하죠. 그러면 해당 섹터가 오늘은 어떤 일이 있는지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재무제표를 알려주는 사이트 : 글로벌마켓모니터, 씨킹알파, 야후파이낸스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는 글로벌마켓모니터, 씨킹알파, 야후 파이낸스가 있어요. 사실 엄청 다양하죠. 너무나도 많이 있습니다. 저는 이 중에서 글로벌마켓모니터와 씨킹알파를 추천합니다.
글로벌마켓모니터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알 수 있는 최고의 한국 사이트라고 생각합니다. 재무제표 뿐만이 아닌 밸류에이션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기업들의 최신 뉴스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씨킹알파는 각 기업들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분석들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료로 이용하기엔 어느 정도 제약이 있습니다. 여유가 되신다면, 구독하는 것을 추천 드릴게요! 여러 안목을 키울 수 있습니다.
야후 파이낸스는 무료 사이트이며, 그 날의 뉴스, 기업들의 재무제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종합 사이트에요. 정말 큰 도움이 많이 되는 사이트입니다.
목표 주가를 알려주는 사이트 : TIPRANKS, 씨킹알파
우리가 투자하고 싶은 기업의 목표 주가를 확인하고 싶은 때는 TIPRANKS와 씨킹알파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애플에 대한 목표 주가를 확인하실 수 있게,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다른 기업들이 궁금하시다면 검색창에 티커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목표 주가를 알아서 뭐할까요? 목표 주가를 알아두면 좋은 것이 있습니다. 지금 현재 주가가 안전 마진이 어느 정도 있는지 파악이 가능하죠. 목표 주가와 현재 주가가 근접해 있다면, 안전 마진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많이 차이가 난다면, 어떠한 사유로 인해 주가가 조정을 받거나, 아떠한 호재로 인하여 목표 주가가 상향 조정된 것이죠.
이런 식으로 목표 주가를 활용하신다면, 안전 마진을 구축하는 투자에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저 역시 이런 방식으로 투자를 하기에, 주가가 조정을 받더라도 편한 투자를 할 수 있어요.
스크리너 사이트 : Finviz
스크리너 사이트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FINVIZ입니다. 오늘 해당 섹터들이 어떤 상태인지 한눈에 알 수 있으며, 어떤 섹터에 어떠한 종목들이 편성되어 있는지 확인도 가능하죠. 또 시가총액에 따라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시가총액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그 뿐만이 아니에요. 조건 설정을 하여, 조건 검색을 할 수도 있으며, 궁금한 기업의 펀더멘탈 및 밸류에이션을 확인할 수 있죠. 정말 유용하다고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주식을 투자하는 방법 : 시퀀스 투자
너무 거창한 말을 썼나요..? 전 주식을 투자할 때, 정해진 시퀀스에 따라서 투자를 합니다. 즉 무지성 투자가 아닌, 종목을 투자할 때 여러 가지를 판단하고 투자를 하는 것이죠. 그렇다면 어떠한 판단 기준과 어떠한 순서를 가지고 투자를 할까요?
1단계 : 목표 주가 분석
애널리스트들이 분석한 목표 주가 찾기 : 씨킹알파, Tipranks
우선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기업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목표주가을 찾아봅니다. 이 과정이 제일 우선적으로 하는 이유는 재무 건전성이 좋고, 차트가 좋아도 현재 주가가 목표 주가를 뛰어넘거나, 안전마진이 없다면 투자할 때 불안하기 때문이죠. 저만의 원칙은 현재 주가가 최소 15% 이상의 안전 마진이 확보되어야 투자를 합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씨킹알파에서 참고한 AMD의 목표 주가입니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약 +18%의 안전 마진이 있네요? 그럼 최소 15% 이상의 안전 마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저의 원칙을 충족시킨 셈입니다.
직접 계산한 목표 주가 찾기
이 방법은 사실 그렇게 정확한 방법은 아니에요. 다만 전 이 방법을 통해서 저의 최대 평균단가를 산정합니다. 안전 마진이 있는 상태에서 1차 매수를 진행을 하였으면, 추후에 주가가 더 조정된다면 2차 매수를 합니다. 그렇게 형성된 평균 단가가 직접 계산한 목표 주가보다 낮게 유지하는 거죠.
이렇게 이중 방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저는 목표 주가를 상당히 보수적으로 계산합니다. 어떤 식으로 계산을 할까요?
- 2027년 예상 EPS : 전문가들이 평가한 2027년 예상 EPS를 참조합니다.
- 2027년~2031년동안 예상 EPS Growth : 최대한 보수적으로 잡기 위해 섹터 평균을 사용합니다.
- PEG : 전문가들이 평가한 PEG를 참조합니다.
- PEG X 예상 EPS Growth : Foward PE Ratio가 계산됩니다.
- Foward PE Ratio X 2027년 예상 EPS : 2027년 목표 주가를 계산합니다.
- 할인률 : 미국 10년 장기 국채 금리 + 주식 위험 프리미엄*베타 (베타는 야후 파이낸스에서 참조합니다.)
- 계산된 할인률을 이용하여. 역복리로 2023년 목표 주가를 계산합니다.

2단계 : 재무 건전성 확인

이 자료는 제가 어제 분석한 마이크론의 펀더멘탈을 계산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항목들을 봐야하는지 한번 분석해보겠습니다.
Income Statement : 손익계산서
우선적으로 손익 계산서를 봐야겠죠? 손익계산서는 사실 후행성 자료입니다. 회사가 사업을 어떻게 해왔는지 알려주는 자료이기 때문이죠. 우리는 손익 계산서를 보고 회사가 지금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구나를 알 수 있습니다. 만약 회사가 올바르지 못한 방향으로 가는 경우, 그 이유를 분석해야 합니다. 그 이유가 일시적인 문제인지, 아니면 정말 회사의 근본에 문제가 되는 문제인지는 확인해야겠죠.
Balance Sheet : 대차대조표
대차 대조표에서 저는 주로 회사의 부채 비율의 추이를 봅니다. 회사의 부채 비율이 건전한 상태인지 혹은 증감하는 추세는 어떠한 지 분석을 하죠. 부채비율이 100%인 것은 자본은 없고, 자산 전체가 빚이라는 이야기입니다. 회사의 재정 상황이 부정적이라는 얘기겠죠. 우량한 기업이라고 해서 다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저는 시가총액 100위에 있는 기업 위주로 투자를 하기에, 어느 정도 대차대조표 분석에서는 자유로운 편이죠.
Cash Flow Statements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에서 저는 여러 가지를 보는데요. 첫 번째로는 CFO(영업활동 현금 흐름)입니다. 이 값은 +가 나와야 좋은데, 지속적으로 영업활동을 위한 현금 흐름이 증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도 그럴게, 영업 활동에 있어서 더 많은 현금 흐름이 생긴다는 것이니까요. 이와 동시에 전 CAPEX(설비 투자 비용)의 추세도 봅니다. 지속적으로 성장을 위해 설비에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성장하는 모습이니까요.
그리고 영업활동 현금 흐름에서 설비 투자 비용을 뺀 값인 FCF(잉여 현금 흐름) 또한 상세히 봅니다. 회사의 재정이 좋지 않더라도, 잉여 현금 흐름이 많다면 그나마 다행입니다. 언제든지 가용할 수 있는 돈이 많다는 의미니까요.
그 외로 재정활동 현금 흐름, 투자활동 현금 흐름은 (-)값이 나와야 긍정적입니다. 이런 내용들은 제가 추후에 구체적으로 다루겠습니다.
3단계 : 차트 활용
1단계에서 목표 주가를 확인한 다음, 안전 마진의 여부를 확인합니다. 충분한 안전 마진이 있다면, 재무 건전성을 확인한 다음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건전성이 확인되었다면, 마지막으로 차트를 통해 매수 자리를 잡습니다. 1차 매수, 2차 매수의 자리를 선정하고, 계산된 평균 단가가 제가 계산한 보수적인 목표 주가보다 낮게 나오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차트 분석은 어떻게 할까요? 그 내용은 다음 글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원칙에 준수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더멘탈과 차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진단합니다.
Hi there to all, for the reason that I am genuinely keen of reading this website’s post to be updated on a regular basis. It carries pleasant stuff.
Thanks. If you give me active feedback, I will continue to correct the mistakes. Let’s take a step forward with each other through a good relationship!
I’m often to blogging and i really appreciate your content. The article has actually peaks my interest. I’m going to bookmark your web site and maintain checking for brand spanking new information.
I will continue to monitor interested companies and post analysis of companies worth investing in. If you leave your insights through writing, we can build a good relationship by discussing and increasing our wealth.
This was beautiful Admin. Thank you for your reflections.
There may be some inadequacy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into English written in Korean, so please understand.
Pretty! This has been a really wonderful post. Many thanks for providing these details.
It’s a great honor to be able to help you
Pretty! This has been a really wonderful post. Many thanks for providing these details.
I’ll always try to share good insights
This is my first time pay a quick visit at here and i am really happy to read everthing at one place
Thank you,sir
좋은게시물입니다 좋은영감과 좋은 아이디어 얻고 갑니다
드디어 한국인이 댓글을 달아주시네요ㅠㅠ 감사드립니다
좋은게시물입니다 좋은영감과 좋은 아이디어 얻고 갑니다
Very well presented. Every quote was awesome and thanks for sharing the content. Keep sharing and keep motivating others.
Thank you my bro.